전체 글65 한바탕 전주, 세계를 비비다! 전주 한옥마을 나들이 맛고을로 유명한 전주, 그곳에는 기와 한장 한장 올려진 이 있습니다. 한옥 543동과 비한옥 165동이 있는 이곳은 1930년대 일본인들의 세력 확장에 대한 반발로 한옥마을이 조성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한옥의 미를 보기 위해 많은 외국인들도 찾고 있는 전주 한옥마을. 골목길을 걸으며 한옥마을 나들이를 시작해보겠습니다. :D 골목길을 걸으며 전주를 만나다. 전주 한옥마을은 태조로부터 시작해 은행로, 경기전길, 최명희길, 어진길 등의 골목길을 걸으며 아름다운 한옥을 만날 수 있습니다. 태조로는 경기전과 전동성당, 전주공예품전시관, 한지관 등의 한옥마을 볼거리들이 가장 많이 있는 길입니다. 은행로는 600년 된 은행나무로 붙여진 이름으로 한옥숙박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 있으며, 화강석으로.. 2011. 1. 17. 서울 닭 문화관 '닭'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나요?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통큰 치킨', 아니면 한 번씩 양계 농장을 공포에 떨게 하는 '조류독감'? 속담으로는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가 생각이 납니다. 닭은 사람과 친숙한 가축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 있는 동물입니다. 십이지 중 열 번째 동물로 유일하게 날개가 달린 동물이기도 합니다. 하루의 시작을 닭 울음소리로 시작했고, 마지막 가는 길 상여 위에는 닭이 있어 가는 길을 인도했다고 합니다. 서울 닭 문화관은 북촌 가회로에 위치하는 박물관으로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에서 직진, 헌법재판소 교차로에서 400여 미터를 더 가다보면 서울 닭 문화관을 만날 수 있습니다. 가는 길에 다른 박물관들도 만날 수 있으니 반나절 정도 북촌 박물관 투어를 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10. 12. 22. 몸짓으로 전하는 이야기 : 이경식 마임의 난장 <숨결> 칼바람이 부는 12월입니다. 가족, 연인, 친구들과 따뜻하게 겨울을 보내고 싶으시다면 공연을 함께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손잡고 봐도 좋고, 같이 맞장구치며 웃어도 좋잖아요. :D 대구에는 매년 열리는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발(DIMF)을 비롯해 작은 규모지만 알찬 연극 공연들이 많이 열립니다. 올 겨울 몸짓으로 하는 이야기, '마임' 공연 한 편 어떨까요? 연극이 열리는 곳은 대구 대명동 계대 정문에 위치하는 '한울림소극장'입니다. 입장 시간보다 일찍 가서 기다리는 중입니다. 좁지만 아기자기 하게 꾸며진 복도는 이곳이 공연장임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Today's play에 오늘의 연극 '이경식 마임의 난장 숨결' 포스터가 붙어 있습니다. 연극 30분 전, 입장을 했습니다. 무대와 객석의 거리가 가까운 무대.. 2010. 12. 16. 너와 나의 장소, 대구 동성아트홀을 가다. 대구경북 유일의 예술영화 전용관, 동성아트홀 국내 최초의 무삭제 제한등급 상영관에서 예술영화전용관으로 탈바꿈한 동성아트홀은 1992년 개관부터 다양한 영화에 대한 선택권이 극도로 제한된 지역의 척박한 현실과 맞서 고군분투해 왔습니다. 멀티플렉스의 확장이 관객들에게 다양한 영화에 대한 접근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는 환상이 사라진 지금, 동성아트홀이 예술영화와 독립영화 개봉의 선두에 서겠습니다. by 동성아트홀 주소 : 대구 중구 동성로 1가 22번지 전화 : 053 - 425 - 2845 동성아트홀의 개봉 원칙 1. 관객회원과의 상시적인 피드백체계를 구축하여 수요에 걸맞은 예술영화 프로그래밍 체계 구축 2. 지속적인 예술, 독립영화 개봉으로 예술영화관으로서의 정체성을 제고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 3. 기획전을.. 2010. 12. 13. CJ 그림책 축제 기간 : 2010. 12. 08(수) ~ 2010. 12. 28(화) (휴관 없음) 장소 : 서울 중구 한국국제교류재단문화센터 (중앙일보 빌딩 1층) 입장료 : 성인 5000원, 아동·청소년 3000원 (만 5세 ~ 18세) 교통 : 지하철 2호선 시청역 9번 출구 주최 : CJ문화재단 21세기 문화 아이콘 그림책, 페스티벌로 만나다. 그림책은 이미 남녀노소 모두가 함께 즐기는 하나의 문화로 우뚝 서 있습니다. 또한 종이 책에 머물러 있던 과거와 달리, 장르의 벽을 깨고 미술과 영상 등 다양한 매체와 결합하여 새로운 미학을 창조하는 귀중한 문화 콘텐츠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세계 여라 나라의 그림책 분야 역시 지난 역사를 통해 국가별 발전을 이뤄 왔습니다. 특정 지역 또는 문화 언어권의 한계가 있었던 과거.. 2010. 12. 11. 이전 1 ··· 8 9 10 11 다음